- 250톤 급 2기가 설치된 현재 소각장, 2015년 내구연한 지나
-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 현대화'에는 1기 신설+기존 시설 철거 후 동일용량 설치가 포함되어 있어

청라동 11-22번지에 소재한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빨간 영역). 현재 가동중인 250톤 급 소각로 2기 외에도 추가로 1기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파란 영역)가 확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네이버 지도 갈무리)
청라동 11-22번지에 소재한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빨간 영역). 현재 가동중인 250톤 급 소각로 2기 외에도 추가로 1기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파란 영역)가 확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네이버 지도 갈무리)

청라국제도시가 조성되기 전인 2001년에 건립된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청라소각장)은 청라동이 포함된 인천 서구를 포함하여 총 6개 군·구의 쓰레기를 소각하는 시설이다.

1일 250톤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소각로 2기가 설치되어 총 최대 500톤의 쓰레기를 하루에 태울 수 있는 청라소각장은 2015년 내구연한이 지나 최대 소각량을 다 태우지 못하고 있는데다 고장이 잦아 많은 쓰레기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내구연한이 지나 노후화된 설비로 소각하는 과정에 유독물질이 뿜어져 나와, 가끔씩 발생되는 청라 지역의 대기 중 오염물질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등 이미 제 기능을 다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청라소각장이 들어선 2001년과 비교하여 2020년 현재는 소각장을 둘러싼 환경이 크게 바뀌었다. 4km 반경 안에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와 루원시티가 조성되었고, 이 지역에 11만 명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다. 크게 바뀐 주거환경을 반영하여 내구연한이 지난 청라소각장을 대체하기 위한 대책을 인천시는 세워야 했다. 그러나 인천시는 전혀 대응이 없었다.

이 과정에서 인천시는 청라와 송도에 있는 광역폐기물소각장을 '현대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이다. 특히 소각시설과 주거지역과의 반경이 4km 남짓 되는 거리 안에 들어와 있는 청라의 경우 소각장을 현재의 위치에 존치함으로 인해 인천시가 마땅히 보호해야 할 주민들의 환경권과 건강권을 오히려 침해하고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가 구상한 '청라소각장 현대화사업'에는 청라소각장 부지에 추가로 1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1기를 신설하고, 기존 2기는 철거 후 동일 용량의 소각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이 담겨 있다. 현대화사업이 끝난 청라소각장은 사실상 250톤 급 소각로 3기가 설치되어 사실상 증설과 같은 효과가 나는 것이다.

인천시는 현대화사업으로 구축된 250톤 급 3기를 확보한 뒤 평소에는 2기만 가동하여 1기를 예비용으로 두겠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즉, 2기 중 1기의 설비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예비 소각로를 가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최대 처리가능 용량은 750톤이지만 평소에는 500톤만 소각하므로 기존 청라소각장이 처리했던 최대용량과 같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아무리 예비용으로만 둔다고 한들 사실상 '현대화된 청라소각장'은 최대 750톤의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장으로 증설된 것과 다름없고, 특히 검단신도시 및 메트로파크씨티, 계양신도시 등 대규모의 인구가 입주할 수 있는 주거시설이 조성중이거나 계획되어 있어 '현대화된 청라소각장'이 처리해야 할 쓰레기의 양이 증가될 것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결국 3기를 전부 가동할 여지도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가 기존 소각시설을 존치하고 싶은 표면적인 이유는 '시간과 비용 절감'이다. 기존 시설을 개보수할 경우 환경영향평가와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생략하여 신규 소각장 설치를 위해 진행할 절차와 비용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라는 미명 하에, 수도권매립지를 종료하고 현재의 매립지보다 적은 용량의 매립지에 쓰레기를 매립하기 위해 매립량을 줄일 수 있는 폐기물 소각장 확충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소각장 확충'이라는 목표에만 몰두한 나머지 소각장이 들어서 있는 주민들의 분노어린 의견을 인천시는 묵살하고 있다.

청라국제도시 총연합회 배석희 회장은 "매립지 조기종료에만 몰두한 나머지 조심스럽고 어렵게 접근해야 하는 소각장 증설문제를 쉽게 해결하려고 하는 인천시는 자가당착에 빠져있다"며 "비용절감과 주민들의 건강권을 맞교환하려는 인천시는 소통의 장으로 나와 직접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 청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