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바이오산업과 함께 인천의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기대"

(Image by dayamay from Pixabay)
(Image by dayamay from Pixabay)

정부가 지난 12일에 진행한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인천국제공항에 해외 복합 항공정비(MRO) 업체 유치 등을 집중 지원해주기로 밝힘에 따라, 인천광역시가 추진 중인 MRO산업을 비롯해 도심항공교통(UAM)산업, 드론산업 등 전반적인 인천 항공산업에 큰 영향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정부는 12일 열린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4대 전략 13개 주요 정책을 발표했으며, 구체적으로 지역별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MRO 클러스터 간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지역별 특화분야 육성 지원에 나설 예정이며, 이중 인천공항은 해외 복합 MRO업체 유치 등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겨졌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이번 정부 방침을 계기로 항공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인천 경제를 선도할 핵심산업으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항공산업이 활성화되면 앞서 추진되고 있는 '인천 바이오 산업'과 함께 경제성장과 청년 일자리 창출 동력으로써 미래먹거리 산업을 확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MRO산업의 활성화 차원에서 앞서 지난 5월에는 이스라엘 국적항공 IAI 사 항공기 개조사업을 유치했으며, 이후에도 미국 화물항공사의 중정비 아시아 허브, 대한항공의 통합 항공기 엔진 정비클러스터 유치 등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사업들이 본격 시행되는 2025년에는 인천이 아시아 제1의 항공정비산업의 허브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NASA에서 밝힌 UAM 개념도(자료=NASA)
NASA에서 밝힌 UAM 개념도(자료=NASA)

이와 관련해 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UAM 상용화 시기인 2025년에 맞춰 인천의 산업구조의 중심 뿌리산업인 자동차 중심의 제조업이 추진하고 있는 '기술 고도화와 사업 다각화'를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효과가 높은 항공산업으로 지원하고, 특히 자동차산업과 항공산업이 융복합하는 UAM 체계에 대한 도시 수용성을 높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인천형 UAM 플랫폼' 구축을 시작으로 인천의 도심 하늘길을 분석하고 이를 디지털 트윈 시스템으로 전환시키는 사업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11일에 체결한 '인천 도심항공교통 실증·특화도시 구축 협약'을 바탕으로 UAM 실증노선과 도심항공 특화도시 구축을 주 골자로 하는 인천형 UAM 플랫폼 구축은 청라국제도시를 경유하는 도심항공교통 실증노선을 바탕으로 2022년부터 인천시에서 상용화를 위한 시험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인천시는 전했다.

이를 위해 시는 자이로 플레인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을 활용한 UAM 비행체 개발업체인 미국의 스카이웍스 에어로노틱스와 UAM용 배터리를 개발하는 모비우스 에너지 컨소시움과 국내의 대한항공 등이 이번 실증사업에 참여키로 한 바 있다.

박남춘 시장은 "이번 정부 결정으로 인천은 MRO를 비롯한 항공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며 "인천 항공산업을 바이오산업과 함께 인천 미래먹거리의 두 축으로 삼아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도시 인천, 일자리 걱정 없는 인천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 청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